소득, 지역 제한 없이 만 11세 이상이라면 전 국민이 대상으로 최대 5만 원의 포인트를 제공받을 수 있는 지원사업입니다. 10,000 포인트부터 문화상품권 1만 원권으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전국민 운동 지원금 5만 원 인센티브 제도를 자세하게 안내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전국민 운동 지원금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해드릴 제도는 '운동한 만큼 지원금 받기'라는 취지의 "스포츠 활동 인센티브" 정부 지원 제도입니다. 4월 24일부터 시작된 제도로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 '운동하는 국민 인센티브 프로젝트'를 시범사업으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전국민 운동 지원금 지원 내용
로또와 연금복권 같은 복권 판매 기금은 여러 가지 다양한 복지 제도에 활용되는 반면에 경륜이나 경정, 스포츠토토 등으로 발생한 수익금은 국민 건강증진을 위한 사업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국민체력 100"이라는 사업이 있습니다. "국민체력 100" 지원 사업은 국민 개인의 체력 상태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측정해서 운동 상담 및 처방을 해주는 대국민 체육복지 서비스입니다. 국민 체력 100이나 각 자치단체별로 있는 공공스포츠시설, 민간 체육시설까지 지정된 체육시설을 이용하면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인센티브를 문화상품권으로 교환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국민체력 100 홈페이지 회원가입 시 인센티브 1,000 포인트 적립, 체력측정 참여 시 5,000 포인트 적립, 스포츠활동에 참여 시 10,000 포인트를 적립받을 수 있습니다. 총 5만 포인트까지 적립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급받은 포인트는 10,000 포인트 이상 모였을 때, 문화상품권 1만 원권으로 교환해서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6월 중순 이후부터는 제로페이에서 발행하는 스포츠상품권으로 변경되어서, 스포츠 상품권으로는 스포츠 관련 용품을 구입하거나 체육 시설 이용료, 수강료 등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로페이 가입이 불가능한 만 14세 미만은 문화상품권으로 12월 31일까지 교환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체력 인증 센터는 전국 75개소가 마련되어 있고, 인센티브 인증을 받을 수 있는 시설은 국민체력 100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센티브 인정 시설
전국민 운동 지원금 인센티브 적립 방법
1. 국민체력 100 홈페이지 회원 가입 1,000 포인트 인센티브 적립, 지급 횟수 1회(최대 1,000 포인트)
2. 체력측정(체력측정 참여) 5,000 포인트 인센티브 적립, 지급 횟수 2회(최대 10,000 포인트)
3. 체력측정(헬스업참여) 2,000 포인트 인센티브 적립, 지급 횟수 1회(최대 2,000 포인트)
4. 건강체력 기준달성 2,000 포인트 인센티브 적립, 지급 횟수 1회(최대 2,000 포인트)
5. 스포츠활동 10회 달성 10,000 포인트 인센티브 적립, 지급 횟수 1회(최대 10,000 포인트)
6. 스포츠활동 20회 달성 10,000 포인트 인센티브 적립, 지급 횟수 1회(최대 10,000 포인트)
7. 스포츠활동 30회 달성 10,000 포인트 인센티브 적립, 지급 횟수 1회(최대 10,000 포인트)
- 스포츠활동의 경우에는 매일은 안되고, 1주일에 1회만 포인트 적립 인정이 가능합니다.
인센티브 적립 방법은 국민체력 100 홈페이지 회원가입, 체력측정, 건강체력 기준달성, 스포츠 활동을 모두 진행했을 때, 50,000 포인트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1단계, 체력 100 홈페이지 회원 가입 | 신청 바로가기 |
2단계, 체력인증센터 체력측정 예약 | |
3단계, 헬스업 간소화 측정 | |
4단계, 스포츠활동 체력증진교실 신청 및 지정 체육시설 검색 |
전국민 운동 지원금 신청 방법
1. 국민체력 100 홈페이지 접속한 다음 홈페이지 회원 가입을 진행합니다.
회원 가입은 회원 유형, 실명 인증, 약관 동의, 회원정보 입력 단계를 거쳐 가입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2. 지정된 체육시설에 가서 이용 시 QR 코드를 찍으면 자동으로 인증되고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습니다.
- 체력 측정 및 스포츠활동 참여
- 국민체력 100 체력인증센터 및 지정 스포츠시설에서 스포츠활동 참여 확인
3. 스포츠활동 인센티브 적립 및 사용
전국민 운동 지원금 시범사업 운영 기간
2023년 4월 24일부터 11월 30일까지 시범사업을 운영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습니다. 지급받은 인센티브를 상품권으로 교환 신청할 수 있는 기간은 2023년 12월 31일까지 가능합니다.
평소 시·군·구청에서 운영하는 수영장, 헬스장 등 공공 스포츠 시설, 기타 체육시설에서 꾸준하게 운동을 하고 계신 분들은 기존에 하던 대로 운동하면서 인센티브까지 받으실 수 있는 제도입니다. 운동을 안 하셨던 분들도 이번 기회에 전국민 운동 지원금 인센티브 제도에 관심을 가지고 제도를 잘 활용하셔서 인센티브와 함께 건강도 챙기시기 바랍니다.
'Welfa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청년내일저축계좌 안내 : 가입 조건, 지원 내용, 신청 기간, 신청 방법, 신청 서류 (1) | 2023.05.14 |
---|---|
2023 국가장학금 - 신청 및 지급일, 지급 방법 확인 (0) | 2023.05.12 |
K-희망사다리 2023 정부지원금 복지제도 정보 확인 (0) | 2023.05.08 |
부모급여 온라인 신청 방법과 부모급여 지급 기간 (0) | 2023.05.08 |
정부지원금 복지멤버십 제도 신청 방법 (0) | 2023.05.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