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바우처는 교육급여 바우처의 줄임말로, 국가에서 중위소득 이하의 가정의 아이들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가정의 소득과 자녀의 학년을 고려해서 지원 금액이 상이하고, 지원금으로 교육비 및 교육에 필요한 물품 구입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모든 아이들이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2023 교육 바우처 신청 방법, 지급일, 사용처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023 교육 바우처
교육급여 바우처란, 교육부와 교육청 그리고 한국장학재단에서 꿈을 가진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카드 포인트 방식으로 교육활동지원비를 지급 받을 수 있는데, 교육급여 바우처 지급 금액은 초등학생 연 41만 5천원, 중학생 연 58만 9천원, 고등학생 연 65만 4천원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교육 바우처 세부 내용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ⅰ. 신청 자격
ⅱ. 신청 방법
ⅲ. 지급일
ⅳ. 사용처
ⅴ. 2023 교육 바우처 변경 사항
신청 자격
교육급여 바우처 신청 대상은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인 경우여야 합니다.
여기서 소득인정액이란, 가구원의 재산을 일정한 방식으로 계산하여 도출한 값을 의미합니다. 중위소득이란, 전국의 모든 가구를 소득별 순위를 보았을 때, 중간에 위치하는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신청 방법
교육급여 바우처 사전등록 기간은 3월 2일부터 3월 20일까지로 마감이 되었고, 본 신청은 3월 29일부터 2024년 6월 28일까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PC, 스마트폰, 모바일에서 웹 브라우저(크롬, 엣지, 사파리 등)를 사용해서 온라인 신청이 가능합니다.
① 교육급여 바우처 누리집 페이지 접속
② 본인 인증 수단을 통하여 본인 인증
만 14세 이상 학생은 본인 또는 학부모가 신청할 수 있고, 14세 미만의 학생은 학부모가 대리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③ 신청인, 성명, 주민등록번호 학생 정보를 입력합니다.
④ 교육급여 바우처 지급을 희망하는 카드사 또는 선불카드를 선택합니다.
⑤ 신청을 모두 완료한 다음, 알림톡 등으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바우처 이용이 제한되는 카드사별 정보를 확인한 다음, 바우처 카드를 신청하기 전에 확인 후 발급 받으세요)
지급일
사전등록 신청 기간 3월 20일 이전에는 기존 수급 가정(학생)이 신청 가능하며, 사전 등록 신청 기간에 신청했을 때는 23년 3월 중 바우처 우선 배정 받을 수 있습니다. 본 신청 기간 신청은 기존 및 신규 수급 가정(학생) 상관없이 모두 신청이 가능하며, 신청 후 2~5일 이내 바우처 배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선불카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별도 배송 및 본인 수령 확인 기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사용처
교육급여 바우처는 전국 어디서든 사용이 가능합니다. 교육급여 바우처를 사용할 수 있는 곳은 유흥, 사행업종, 청소년 출입불가 장소, 상품권, 성인용품 판매점 등 학생들의 교육지원 용도와 관련이 없는 업종을 제외하고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업종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선불카드의 경우 오프라인에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2023학년도 교육급여 바우처 사용기한은 2024년 8월 31일(토)까지 사용이 가능하며, 기간 내에 남은 교육급여 바우처 금액은 전액 소멸됩니다.
2023 교육 바우처 변경 사항
2023 학년도 교육급여 제도의 주요 변경사항은 2가지가 있습니다. 학생 1인당 교육활동지원비가 평균 23.3% 인상되었고, 교육급여(교육활동지원비) 현금 계좌이체 방식에서 바우처 방식으로 지급방식이 변경되었습니다.
- 초등학생 : 331,000원 > 415,000원으로 인상
- 중학생 : 446,000원 > 589,000원으로 인상
- 고등학생 : 554,000원 > 654,000원으로 인상
'Welfa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생리대 지원금 총정리 (0) | 2023.04.13 |
---|---|
경기도 청년 복지포인트 신청 대상 및 기간, 신청 방법, 혜택 (1) | 2023.04.13 |
서울시 우먼업 구직지원금 신청 방법, 지원 대상, 지원금 지급 방법 (0) | 2023.04.12 |
소상공인 버팀목 고용장려금 인건비 지원 신청 방법 및 지원 금액 (0) | 2023.04.12 |
비정상거처 이주지원 신청 방법 및 신청 자격, 거주 확인서 (0) | 2023.04.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