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는 청년정책 핵심 공약으로 70만 원씩 5년 저축하면 정부 지원금을 더해서 5천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소득이 낮을수록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지원정책으로 2023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지원 내용, 신청 방법 및 서류 그리고 중복 지원 가능한 사업까지 모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3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는 새로운 정부의 핵심 청년정책입니다. 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소득이 전혀 없다면 가입이 안된다는 점을 참고해야 합니다. 지난 정부의 청년희망적금보다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던 2023 청년도약계좌 자세한 내용 살펴보고 혜택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필수 체크
청년도약계좌 안내 사항에는 6가지 필수 체크 내용을 정리해 놓았습니다. 내용 확인 후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에 해당하는 분은 안내드린 방법을 통해 신청 기간 내에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필수 체크 목록
1. 가입 조건
2. 지원 내용
3. 신청 방법
4. 신청 서류
5. 중복 가입 지원 사업
가입 조건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기 위한 조건은 연령과 소득 조건이 있습니다.
1. 연령 조건 : 만 19~35세 청년이 가입할 수 있습니다. 남자는 군 복무기간을 나이 계산에서 뺀 다음 만 34세까지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할 수 있어, 최대 40세까지 가입할 수 있습니다. 2년 복무 기준으로는 만 37세까지 가입이 가능합니다. 2023년을 기준으로 가입 가능한 청년은 1989년생부터 2004년생이 가입 가능합니다.
2. 소득 조건 : 소득 조건에는 개인 소득(근로, 사업)과 가구 소득 조건이 있습니다.
- 개인 소득 조건 : 근로 소득과 사업 소득을 모두 포함했을 때, 연 6,000만 원 이하
- 가구 소득 : 중위소득의 180% 이하
통계청 2023년 기준 준위 소득표를 참고해 보면, 중위소득 180%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원 수 / 중위소득 | 2023 기준 중위소득 | 기준 중위소득 180% |
1인가구 | 2,077,892원 | 3,740,205원 |
2인가구 | 3,456,155원 | 6,221,079원 |
3인가구 | 4,434,816원 | 7,982,668원 |
4인가구 | 5,400,964원 | 9,721,735원 |
5인가구 | 6,330,688원 | 11,395,238원 |
6인가구 | 7,227,981원 | 13,010,365원 |
개인 소득을 확인한 다음 가구원 수에 해당하는 180% 중위소득보다 낮은지 확인해서 청년도약계좌에 가입 조건이 맞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청년도약계좌는 공무원 가입이 가능하지만, 소득이 없는 청년은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아르바이트 청년은 가능합니다.
지원 내용
청년도약계좌는 소득에 따라 매월 40~7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으며, 정부에서는 최대 6%까지 지원금을 지급하고, 5년간 은행 이자도 함께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청년도약계좌는 주식형, 채권형, 예금형까지 자금 운용 형태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아직 은행 금리는 확정되지 않았지만, 은행 금리는 3년간 고정금리, 2년간 변동금리로 운용될 것으로 예정하고 있습니다.
연 소득 6,000만 원 이상 ~ 7,500만 원 이하인 경우, 이자 또는 배당 소득에 대해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합니다.
신청 방법
청년도약계좌는 2023년 6월 출시해서, 6월 중 신청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신청 방법은 아직 구체적으로 정해지지는 않았지만, 자세한 내용이 정해지면 내용을 수정해서 안내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신청 서류
청년도약계좌 신청 서류는 개인 소득과 가구 소득에 관련된 서류와 함께 신청서를 작성해서 제출해야 할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신청 서류가 확정되면 내용을 수정해서 안내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중복 가입 지원 사업
6월부터 신청 가능한 청년도약계좌와 중복 가입이 가능한 지원사업과 중복이 안 되는 지원사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 중복 가능 : 청년내일저축계좌, 내일채움공제
- 중복 불가 : 청년희망적금
중복 가능한 청년내일저축계좌와 내일채움공제는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지원사업으로 중복해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청년희망적금은 지난 정부에서 실시했던 지원 사업으로 청년도약계좌와 중복해서 지원할 수는 없지만, 청년희망적금 만기 또는 중도해지 시에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청년 목돈 마련을 위한 정부지원 사업인 청년희망적금의 시대가 지나가고 청년도약계좌의 시대가 시작되었습니다. 매월 납입금액을 최대로 설정하는 것이 좋은 선택은 아니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청년희망적금은 출시 7개월 만에 가입자 30만 명이 중도 해지를 했기 때문에 소득 수준에 맞는 적절한 납입 금액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한 청년희망적금은 가입 기간 2년으로 다소 짧은 기간이었지만, 청년도약계좌 가입 기간은 5년이기 때문에 장기적인 계획과 꾸준한 납입을 지속해야 합니다. 때문에 좋은 혜택에 현혹되어 가입하는 것보다 개인 지출 및 소비 패턴에 맞는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Welfa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례보금자리론 LTV DTI DSR 대상자 확인 및 신청 방법 안내 (0) | 2023.06.05 |
---|---|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지원사업 대상자 확인 및 신청 방법 안내 (1) | 2023.06.03 |
한전 에너지 캐쉬백 신청 방법 및 대상, 에너지 절약 방법 (0) | 2023.06.01 |
노령연금 수급자격 신청방법 안내 (0) | 2023.05.30 |
2023 청년내일저축계좌 안내 : 가입 조건, 지원 내용, 신청 기간, 신청 방법, 신청 서류 (1) | 2023.05.14 |
댓글